문재인 대통령이 경남 양산 매곡동 자택을 떠나기로 했다. 세상과의 거리를 두기 위해 골랐던 조용한 공간이 경호적 측면에서 결정적 취약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. 규모를 줄이면서까지 퇴임 후 거주할 새 사저 부지를 매입할 수 밖에 없던 배경이기도 하다.

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6월 5일 "문 대통령은 퇴임 후 경남 양산 하북면의 평산마을에서 지낼 계획"이라며 "기존 사저는 양산 매곡동에 있지만 인근의 하북면으로 옮기기로 했다"고 밝혔다.
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매입한 사저 부지는 경남 양산시 지산리 하북면 363번지 일대 평산마을에 위치하고 있다. 사저 입구 도로까지 포함해 총 2630.5㎡(약 795평) 규모에 이른다.
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공동명의로 지난 4월29일 매입을 마쳤다. 소유권 등기 이전까지 10억 6401만원이 들었다. 모든 비용을 대통령 사비에서 충당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.
문 대통령 내외는 지난 3월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신고 당시 예금으로 총 15억 5007만원을 신고했다. 이 가운데 일부를 사저 매입 비용으로 사용하고, 추후 매곡동 자택을 처분해 공사비용으로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.
문 대통령이 평소 퇴임 후에는 양산 매곡동 자택으로 돌아가겠다는 뜻을 밝혀 왔던 만큼 평산마을의 새 사저 부지 매입 결정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.
경호처에서는 경호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퇴임 후 양산 매곡동 자택에서 지내는 것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, 그때마다 문 대통령은 재검토 하라는 뜻을 전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.
kpnnews@kpnnews.org
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6월 5일 "문 대통령은 퇴임 후 경남 양산 하북면의 평산마을에서 지낼 계획"이라며 "기존 사저는 양산 매곡동에 있지만 인근의 하북면으로 옮기기로 했다"고 밝혔다.
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이 매입한 사저 부지는 경남 양산시 지산리 하북면 363번지 일대 평산마을에 위치하고 있다. 사저 입구 도로까지 포함해 총 2630.5㎡(약 795평) 규모에 이른다.
문 대통령은 부인 김정숙 여사와 공동명의로 지난 4월29일 매입을 마쳤다. 소유권 등기 이전까지 10억 6401만원이 들었다. 모든 비용을 대통령 사비에서 충당했다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.
문 대통령 내외는 지난 3월 고위공직자 정기 재산변동 신고 당시 예금으로 총 15억 5007만원을 신고했다. 이 가운데 일부를 사저 매입 비용으로 사용하고, 추후 매곡동 자택을 처분해 공사비용으로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.
문 대통령이 평소 퇴임 후에는 양산 매곡동 자택으로 돌아가겠다는 뜻을 밝혀 왔던 만큼 평산마을의 새 사저 부지 매입 결정이 쉽지 않았다고 한다.
경호처에서는 경호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퇴임 후 양산 매곡동 자택에서 지내는 것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고, 그때마다 문 대통령은 재검토 하라는 뜻을 전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.
강 대변인은 "최종적으로 경호처는 (양산 매곡동 자택에) 도저히 경호시설이 들어설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"면서 "문 대통령은 국가기관이 임무수행 불가 판단을 내린 만큼 부득이하게 이전 계획을 하게 된 것"이라고 전했다.
실제로 경호처에서는 문 대통령의 휴가 때마다 경호에 어려움을 겪어왔다.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의 휴가 계획을 발표 때마다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썼던 이유도 양산 자택의 경호 문제 때문이었다.
양산 자택 앞으로 길게 조성된 입구를 제외하면 삼면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어 경호상 최악의 조건에 해당한다는 게 청와대 핵심 관계자의 전언이다. 잠재적 위협 요소까지 사전에 모두 제거하는 것이 경호처의 임무이지만 산을 통째로 경호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
청와대가 복귀한 뒤 사후 공개 방식으로 문 대통령의 연차휴가 사용 사실을 공개해왔던 것도 경호 문제 때문이었다. 사전에 미리 공개할 수밖에 없던 여름 휴가의 경우에도 청와대는 공식적으로 양산 자택에 머물 것이라는 언급은 뺀 채 설명해왔다.
참여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시민사회수석, 민정수석, 비서실장을 거치며 격무에 시달렸던 문 대통령이 세상과 거리를 두고 조용하게 살기 위해 마련한 곳이 현재의 양산 매곡동 자택이다.
스스로를 유배 보내는 심정으로 살 곳을 일부러 시골에서 찾다가, 추후 변호사 사무실까지 출퇴근이 가능한 곳 중에서 매곡동 자택을 고르게 됐다는 내용은 저서 '운명(2011)'에 비교적 상세히 소개 돼 있다.
실제로 경호처에서는 문 대통령의 휴가 때마다 경호에 어려움을 겪어왔다.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의 휴가 계획을 발표 때마다 보안에 각별히 신경을 썼던 이유도 양산 자택의 경호 문제 때문이었다.
양산 자택 앞으로 길게 조성된 입구를 제외하면 삼면이 산으로 둘러쌓여 있어 경호상 최악의 조건에 해당한다는 게 청와대 핵심 관계자의 전언이다. 잠재적 위협 요소까지 사전에 모두 제거하는 것이 경호처의 임무이지만 산을 통째로 경호하기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
청와대가 복귀한 뒤 사후 공개 방식으로 문 대통령의 연차휴가 사용 사실을 공개해왔던 것도 경호 문제 때문이었다. 사전에 미리 공개할 수밖에 없던 여름 휴가의 경우에도 청와대는 공식적으로 양산 자택에 머물 것이라는 언급은 뺀 채 설명해왔다.
참여정부 당시 청와대에서 시민사회수석, 민정수석, 비서실장을 거치며 격무에 시달렸던 문 대통령이 세상과 거리를 두고 조용하게 살기 위해 마련한 곳이 현재의 양산 매곡동 자택이다.
스스로를 유배 보내는 심정으로 살 곳을 일부러 시골에서 찾다가, 추후 변호사 사무실까지 출퇴근이 가능한 곳 중에서 매곡동 자택을 고르게 됐다는 내용은 저서 '운명(2011)'에 비교적 상세히 소개 돼 있다.
간신히 승용차 1대가 지나갈 수 있는 좁은 길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넓은 마당이 나오고, 본채와 별채 뒤로 산이 병풍처럼 둘러쌓인 구조가 '인간 문재인'의 휴식에는 제격이지만, 경호 환경으로는 최악이었던 셈이다.
문 대통령은 2006년 매입 당시만 해도 그림과 조각을 위한 작업실로 쓰이던 공간을 하나 둘씩 직접 손을 봐가면서 주거용으로 적합한 공간으로 가꿔왔다고 '운명'에서 서술하고 있다.
문 대통령은 2006년 매입 당시만 해도 그림과 조각을 위한 작업실로 쓰이던 공간을 하나 둘씩 직접 손을 봐가면서 주거용으로 적합한 공간으로 가꿔왔다고 '운명'에서 서술하고 있다.
kpnnews@kpnnews.org
저작권자(c) 한국공보뉴스 무단 전재 - 재배포 금지
본 기사는 한국공보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.
뉴스미란다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공보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.정정.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.
고충처리인(kpnnews@naver.com) / 전화 : 1588-9974
본 기사는 한국공보뉴스와의 계약없이 전문 또는 일부의 전재를 금합니다.
뉴스미란다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한국공보뉴스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.정정.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.
고충처리인(kpnnews@naver.com) / 전화 : 1588-9974
- 정치/경제/사회
- 교육/문화/관광
- 보건복지/방재/환경
- 농수축산/산업/개발
- 스포츠/연예
- 읍면동/통신원